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스마트폰, 일상의 간편하고 편리함에 익숙해지면서 스마트폰의 사용량은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동통신 요금 부담도 당연히 커지게 되었습니다 매년 조사에 따르면 저소득층의 지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 중 하나가 이동 통신비라고 합니다 현실적으로 소득이 낮을수록 통신비의 부담을 더 크게 느끼게 되므로 이번에 소개해드릴 사회 서비스 제도는 이동 통신비 감면제도입니다 지원 및 혜택은 어떤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
이동 통신비 감면제도
사회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가정의 통신비 부담의 완화를 위해 통신요금을 감면해 주는 제도입니다
이동 통신비 감면제도 지원대상
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, 기초연금수급자, 장애인, 국가유공자, 단체 및 시설을 지원합니다
1. 기초생활수급자- [국민기초생활보장법]에 따라 국가로부터 지원을 받는 기초생활수급자(생계, 의료, 주거, 교육급여 수급자)
2. 차상위계층- [국민기초생활보장법]에 따라 소득 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100분의 50% 이하이며, 아래 법률에 따라 지원을 받는 사람 및 그 가구원
- [국민기초생활보장법]에 따른 자활에 필요한 사업에 참가하는 사람 - [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]에 따른 희귀난치성질환자 등으로 본인부담액을 경감 받는 사람 - [장애인복지법]에 따른 장애수당을 지급받는 사람과 장애아동수당을 지급받는 사람 - [한부모가족지원법]에 따른 지원대상자(이경우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100분으 52%이하인 사람 포함 - [장애인연금법]에 따라 장애인연금을 지급받는 사람 - [사회보장기본법] 제 37조제2항에 따라 구축,운영 중인 시스템을 통해 차상위계층에 해당함이 확인되는사람(차상위 계층 확인 서 발급대상자 가구당 4인(소득인정액 조사에 포함된 가구원으로 만6세 이하는 제외)까지 감면가능 |
3. 기초연금수급자- [기초연금법] 제2조 제3호에 따른 기초연금 수급자
4. 장애인- [장애인복지법]에 의한 장애인
5. 국가유공자- 감면대상 보훈대상 코드가 전상군경(21), 공상군경(23), 4.19 혁명 상이자(51), 공상 공무원(61), 국가사회발전특별공로상이자(71), 6.18 자유 상이자(81),5.18부 상자(85)
6. 단체 및 시설
- [장애인복지법]에 의한 장애인 복지시설 및 장애인 복지단체 - [초/중등교육법]에 따른 특수학교 - [아동봅지법]에 따른 아동복지시설 - [국가유공자 등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]에 따른 단체(대한민국상이군경회, 4.19 민주혁명회) |
이동통신비 감면제도 지원혜택
대상에 따라 기본감면 최대 26,000원 및 통화료 최대 50% 감면이 적용됩니다(월 최대 33,000)
1. 기초생활수급자
- 생계, 의료 급여 수급자: 기본감면 26,000원 및 통화료 50% 감면(월최대 33,500원 감면)
- 주거, 교육 급여 수급자: 기본감면 11 ,000원 및 통화료 35% 감면(월최대 21,500원 감면)
2. 장애인/국가유공자/단체: 기본료, 국내 음성/데이터 통화료 35% 감면
3. 차상위계층: 기본감면 11,000원 및 통화료 35% 감면(월최대 21,500원 감면)
4. 기초연금수급자: 기본료 및 통화료 50% 감면(월최대 11,000원 감면)
이동통신비 감면 제도 신청방법
행정복지센터 또는 통신사 대리점 방문해 신청 가능합니다 방문이 어려운 경우는 인터넷이나 전화를 통한 신청도 가능합니다
[방문신청] 신분증 지참해 행정복지센터 또는 이용중인 단말기 통신사 대리점 방문 [인터넷 신청] 복지로 누리집(본인 로그인 필요) >이동통신요금감면 검색 [전화 신청] 이동 통신비 감면 제도 콜센터 1523(이용중인 통신사 자동연결) [문의]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민원상담센터 1335 |
여러분은 무인도에 간다면 꼭 가지고 갈 세 가지는 무엇인가요? 저는 저의 반쪽 남편과 아이들, 그리고 스마트폰이라고 망설임 없이 말할 거 같습니다 그만큼 스마트폰은 일상생활에서도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가 된 거 같습니다 스마트폰으로 할 수 있는 것들이 많아지면서 편하게 이것저것들을 누리다 보니 요금 걱정을 잊을 때도 많습니다 불필요한 소비를 줄인다면 가정의 평화도 오래 지속될 것 같습니다 이동통신비 감면 대상이 되시는 분들은 꼭 신청하셔서 혜택을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
'사회복지서비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소년산모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사업 (0) | 2023.06.28 |
---|---|
에너지 바우처 신청대상 및 방법 (0) | 2023.06.27 |
부모급여 서비스 대상 및 신청방법 안내 (0) | 2023.06.25 |
장애아가족 양육지원 서비스 안내 (0) | 2023.06.25 |
여성 장애인 출산비용지원 출산지원금 (0) | 2023.06.23 |